https://www.youtube.com/watch?v=th3iqf68L1Q&list=WL&index=4
https://www.youtube.com/watch?v=ck-G21ldW3Q&list=WL&index=4&t=49s
해당 포스팅은 상기 영상을 토대로 만들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상기 영상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가 = EPS(정량적) × PER (정성적)
재무제표를 통해 EPS(Earing Per Share, 주당순이익)을 확인할 수 있다.
주가는 EPS(정략적) 요소 외에 PER(정성적) 요소에 의해도 움직인다.
PER은 시장 참여자의 심리가 반영돼 있다.
왜 투자자는 EPS를 확인해야 할까?
① 주가는 EPS에 의해서 움직이므로
② 리스크 헷지 (Risk Hedge, 위험 회피)
■ 포괄손익계산서
회사의 성장, 주가의 우상향을 위해 매출액 성장은 필수적
매출액 = P(가격) X Q (수량)
매출액을 P, Q 측면에서 분석해야 하지만,
성장주는 Q의 확장에 조금 더 주목하자.

▲ 매출액은 전자공시시스템(DART)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매출액-매출원가 = 매출총이익
(매출원가= 기초재고자산 + 당기 매입액- 기말재고자산)
매출총이익- 판관비= 영업이익
■ 비용, 비용의 성격적 분류
기업 활동으로 발생하는 비용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들은 세 가지
① 원재료비
② 인건비
③ 감가상각비
기업의 비용구조에 따라 변동비형, 고정비형 기업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정비는 매출과 무관하게 고정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으로 인건비, 감가상각비 등이 해당
변동비는 생산 및 제작에 연동되는 비용으로 원재료비 등이 해당
변동비형 기업의 이익률은 어떤 비용에 의해 좌우될까?
- 원재료비
- 인건비
- 감가상각비
원재료와 제품가와의 스프레드(차이)가 영업 이익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구조
매출액 성장이 정체되어도 스프레드 차이로 영업이익 성장이 가능하다.
고정비형 기업의 이익률은 어떤 비용에 의해 좌우될까?
- 원재료비
- 인건비
- 감가상각비
손익분기점( BEP)을 넘기면 이익률이 크게 높아진다.(매출액 증가, 공장 가동률 등을 살펴야 한다)
이를 영업레버리지 효과라고 한다.
매출액이 증가할 때 고정비(인건비, 감가상각비 등)가
지렛대 역할을 해 영업 이익 증가폭 확대
재무제표 주석 → '비용의 성격별 분류' 확인

인건비, 감가상각비는 매출원가 / 판관비 모두 속할 수 있다.
제조 현장에서 발생하는 인건비 → 매출원가
본사, 영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인건비 → 판관비
인건비는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에서 확인 가능

■ 현금흐름표
기업이 현금을 어디에서 창출하였고, 사용하는지를 보여준다.
재무제표 → 현금흐름표 확인 가능

① 영업활동현금흐름 (OCF, Operating Cash Flow)
② 투자활동현금흐름 (CFI, Cash Flow from Investment)
③ 재무활동현금흐름 (CFF, Cash Flow from Financing activities)
영업활동현금흐름은
기업의 주요 활동(제조, 판매 등)에서 발생하는 현금의 유입 또는 유출을 말한다.
투자활동현금흐름은
투자 목적으로 자산 및 영업에 사용되는 유,무형 자산의 취득 및 처분으로 발생한 현금흐름을 말한다.
잉여현금흐름 (FCF, Free Cash Flow)
=영업활동현금흐름 - 투자활동현금흐름
투자한 기업의 영업활동현금흐름 확인이 중요하다.
매출의 성장을 위해서는 투자활동현금흐름은 지속적으로 마이너스인 것이 좋다.
다만 투자활동현금흐름이 영업활동현금흐름에 비해 과하면 좋지 않다고 판단된다.
영업활동현금흐름에서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의 CAPEX 집행이 좋다.

영업활동현금흐름은 증가 추세
투자활동현금흐름은 300억원대로 유지 중
잉여현금흐름 (영업활동현금흐름 - 투자활동현금흐름)은 우상향

▲ 주가도 2019년부터 현재까지 우상향 추세
■ 매출채권회전율 / 재고자산회전율
매출채권 회전율
= (매출채권 총액 ÷ 매출액) × (365 ÷ 회계기간)
재고자산 회전율
=매출액 ÷ 평균재고자산
매출채권 회전율이 높을수록 회사가 매출채권을 빨리 회수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금 유동성이 개선되고 재무 건전성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재고자산 회전율은 회사의 재고자산이 얼마나 빠르게 팔리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재고자산 회전율이 높으면 자본수익률이 높아지고 매입채무 감소, 상품 재고손실을 막을 수 있다.


▲ 해성디에스의 매출채권회전율 / 재고자산회전율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세업- 인천공항 면세사업자 숏리스트 발표 (신세계, 호텔신라) (0) | 2023.03.20 |
---|---|
주식 매매 주체별 수급 차트 만들기 (0) | 2023.03.19 |
항공-돌아오는 여객, 부족한 비행기 (0) | 2023.03.16 |
나노신소재 주가 전망과 투자 포인트 (0) | 2023.03.16 |
2차전지 소재-실리콘 음극재 + CNT 도전재 (0) | 2023.03.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