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s://blog.kakaocdn.net/dn/c57t7P/btr4gE6Qtcx/Mz74pAw2bcITcJXdWn3hY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4EbO5/btr4fVugjl3/D3UJ1IeilQ7iBG0WsTSzB1/img.png)
글로벌 항공기 제조사인 보잉과 에어버스의
1~2월 항공기 인도 실적은 총 132대 (작년 133대)
공급망 혼란으로 인도량 회복이 더디게 진행
반면, 수요는 역사적으로 높은 수준
① 항공기 수요는 코로나 이후 여객 회복에 따른 신조기 수요 증가
② 친환경 대응에 따른 고효율 기종으로의 교체 수요 발생
③ 노후 퇴역기 대체 수요
![](https://blog.kakaocdn.net/dn/VcNX8/btr36FMYLhE/Jk4TleQfTqkG1sMDpiVHM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ACPfv/btr36Gd0gJT/ZkgHC1KFyVVCmhRljrXHs0/img.png)
제조사들 연간 생산 능력을 고려하면 약 6~10년가량 수주 물량이 쌓여있다.
항공기 수요가 좋다는 점은 항공기 부품사들의 중장기 실적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포인트
항공기를 도입하여 운항하는 항공사들에게는 신규 기재 도입 계획 차질로 이어질 수 있다.
신조기 인도 지연은 항공기 리스료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kA73i/btr36Sk5YPv/voP5wLbXk0VZ6dJkKk79j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dOtaiu/btr4fxAiwkQ/VhlB2GWt8O0bO19IOdykLK/img.png)
국내 항공기 기재 수는 2019년 413대, 2022대 364대로 50대가량 감소한 상황
중대형기의 퇴역 증가, 신규 생산 회복 지연으로 단거리 노선 대비
중장거리 노선에서의 공급 증가가 상대적으로 더디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
현재의 수급 밸런스가 유지되는 한 급격한 운임 하락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항공사들 비용 수준을 고려한 BEP 티켓 가격(편도)은
일본 나리타 기준 10~20만원, 방콕 기준 30~50만원 수준으로 추정
실제 판매되는 티켓 가격을 고려할 시 BEP 수준을 상회하고 있다.
단거리 노선에서 집중적인 수익을 확보하고 있는 상황
![](https://blog.kakaocdn.net/dn/vkAhc/btr4gUBIl1j/v3CGWsS2cl2xrED7irQYr0/img.png)
▶ 대한항공
▶ 제주항공
▶ 보잉 (BA NYSE)
![](https://blog.kakaocdn.net/dn/b1eoav/btr38K09MxX/pOzKqyLNq7GSCpk7RCKlD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mfMs3/btr4gElvXwJ/qZ9utu99v4GrKasMx4JMMk/img.png)
▶ 에어버스 (AIR EPA)
![](https://blog.kakaocdn.net/dn/bXlgoA/btr38LyZ23B/1rZydrosfEkmeXkkw7lZK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vOXrN/btr4hyd02Zu/lHlLEsa9XC7u9WEp2TRok1/img.png)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매매 주체별 수급 차트 만들기 (0) | 2023.03.19 |
---|---|
재무제표를 통한 주식 투자 (0) | 2023.03.19 |
나노신소재 주가 전망과 투자 포인트 (0) | 2023.03.16 |
2차전지 소재-실리콘 음극재 + CNT 도전재 (0) | 2023.03.15 |
인터로조 주가 전망과 투자 포인트 (23년) (0) | 2023.03.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