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콘텐츠12 애니플러스의 애니맥스 인수의 의미 (애니플러스 23년 실적 전망) ■ 업계 2위 경쟁사 애니맥스 지분 100% 인수 발표 애니맥스 코리아 지분 100%를 총 460억원에 인수하는 계약 체결 22 년 기준 매출액 134억원, 영업이익 42억원 OPM 30% 기록 (인수가 기준 PER 15 배) 22 년 기준 보유 현금 238억원 인수에 필요한 자금은 CB 250억원 발행(4 회차)을 통해 조달 신규 발행 CB 이자율 0% 전환가액 4,510 원 전환청구기간 24/04/21~28/3/21 주식수 5,543,237 주식총수 대비 비율 11.2% 04/21 기준 미상환전환사채는 총 377 억원 (3 회차 CB 127 억원 + 4 회차 CB 250 억원) 사업적 시너지 효과 기대 1. 바잉 파워 상승 2. 굿즈 사업 확장 애니맥스는 애니플러스와 중복되지 않는 콘텐츠(귀멸의 칼날.. 2023. 4. 21. SBS 2022년 4분기 실적 및 주가 전망 ■ 4Q22 실적 Review 매출액 3,885억원 영업이익 365억원 OPM 9.4% 당기순이익 284억원 광고수익 1,124억원 사업수익 2,418억원 영업이익은 컨센서스 (608억원)를 하회 별도 영업이익이 327억원으로 크게 부진 TV광고가 -16% , 월드컵 관련 손실 110억원 (손상차손에 따른 550억원의 회계적 이익 감안 시 440억원 흑자) 성과급 등이 전년과 유사한 360억원 정도 반영 ▶SBS 투자 포인트 1.기업의 효율적인 제작비 통제 2.광고 수익의 Cash Flow 바탕으로 한 사업 수익의 성장 상기 투자 포인트 외에 몇 가지 이슈들로 인해 주가는 오를 것으로 판단한다.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3031771611 [단독] 통.. 2023. 3. 18. 디앤씨미디어 주가 전망과 투자 포인트 (23년) 기업 개요 2012년에 설립된 웹소설 및 웹툰 콘텐츠 공급업체 업계 최다 수준의 계약 작가/ 작품 수를 보유 산하 14개 출판소설/ 웹소설 브랜드를 운영 중 산하 3개의 스튜디오 (디앤씨웹툰비즈, 더앤트, 스튜디오붐) 설립/ 인수해 운영 중 스튜디오 모델은 인건비 등 추가적 고정비 지출을 수반하지만 IP 저작권을 가지고 있어 흥행 시 레버리지가 더 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021년 8월 웹툰 제작 전문 스튜디오인 더앤트 지분 추가 취득을 통해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편입하였다. 또한 자회사인 디앤씨웹툰비즈에 웹툰 제작 과정을 내재화하는 조직을 신설하였다. 웹툰 제작 과정을 내부화 및 전문화하여 기존 제작 시스템 대비 다수의 작품 제작 가능할 것으로 전망 대표작으로는 , 등이 있다. ▼ 카카오향 비중이 .. 2023. 3. 15. 웹툰 시장과 주요 플레이어 분석- 플랫폼 및 CP 상장사 전 세계 만화 시장 규모는 약 15조원 주요 시장인 일본, 미국의 디지털 만화 침투율은 각각 56%, 8%에 불과 해외 웹툰 이용자 풀이 지속 확대 중 라인망가, 픽코마는 일본에서 각각 4천만명 이상의 가입자, 1천만명 이상의 이용자를 확보 유료 콘텐츠 이용률 지속 상승 중 웹툰의 가장 큰 잠재력은 OSMU(One Source Multi Use)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익을 창출한 IP 10개 중 7개가 만화/애니메이션을 기반으로 한다. 일본의 반다이남코는 인기 일본 망가/ 애니 IP 10종 (드래곤볼, 원피스, 나루토 등)에 대한 권리를 소유하고 이를 다양한 콘텐츠로 확대 재생산해 매년 약 4조원 매출 (전체 매출의 40~50%)을 만들어내고 있다. ▲ 5년 동안 반다이 남코 홀딩스의 주가는 127.71.. 2023. 3. 14.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