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콘텐츠12 K콘텐츠의 구조적 성장 2편-SBS https://arabozaeverything.tistory.com/4 K콘텐츠의 구조적 성장 1편-OTT 경쟁 및 이익구조로 인한 수혜 최근 전 세계에서 가장 트렌디한 서브컬처의 제조국이 어딜까? 대한민국이라고 생각한다. 아티스트 개인들의 역량도 중요하지만, 제조와 마케팅하는 한국 기업들의 역량도 성공에 크게 작용했 arabozaeverything.tistory.com 1.OTT 경쟁으로 인한 K콘텐츠 제작사 수혜 2. 금리 인상 및 비용 통제 환경 → 현금 여력이 충분하여 양질의 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 제작사만 생존할 수 있는 환경 상기 두 가지 요인을 고려했을 때, SBS는 괜찮은 투자처라고 생각한다. ▶SBS 투자 포인트 1.기업의 효율적인 제작비 통제 2.광고 수익의 Cash Flow 바탕으로 .. 2022. 12. 14. K콘텐츠의 구조적 성장 1편-OTT 경쟁 및 이익구조로 인한 수혜 최근 전 세계에서 가장 트렌디한 서브컬처의 제조국이 어딜까? 대한민국이라고 생각한다. 아티스트 개인들의 역량도 중요하지만, 제조와 마케팅하는 한국 기업들의 역량도 성공에 크게 작용했다고 생각한다. P(구독료) × Q(구독자수)-C(콘텐츠 비용) P(구독료) M/S 확대를 위해 경쟁이 심한 상황에서 P의 상승은 쉽지 않다. C(콘텐츠 비용) 콘텐츠 비용을 낮추면 구독자 확보 및 유지가 어렵다. '글로벌 OTT 시장 경쟁 심화 →콘텐츠 수급 경쟁→ 콘텐츠 가격 상승' 경쟁자들 사이에서 콘텐츠 독점하기 위해 콘텐츠 및 IP 가격은 상승하고 있다. '콘텐츠 투자→구독자 증가→스트리밍 매출 증가→ 콘텐츠 투자' P(구독료) 상승, C(콘텐츠 비용) 절감이 어려운 환경이다. 결국 글로벌 OTT들은 Q(구독자수.. 2022. 12. 14. 알아두면 쓸모있는 중소형 콘텐츠 기업들 2편-에이스토리, 팬엔터테인먼트 ■ 요약 내년까지 방송사 편성 축소/유지 기조는 이어질 것 글로벌 OTT향 편성은 확대될 것 글로벌 OTT가 수익성에 집중하기 시작하면서 한국 드라마에 대한 투자 위축 우려 존재 제작비 효율화 관점, 제작비와 흥행 경쟁력을 입증했기에 오히려 투자 집중도 높아질 것 가입자 순증 지역(아시아태평양) 내 압도적 글로벌 흥행력을 갖췄기 때문이다. 실적 측면에서 1) 시즌제, 2)S급 연출진/배우들이 출연하는 작품 위주로 성장 예상 시즌2부터는 제작비 증가 및 리쿱율이 상향이 예상 판매 측면에서 S급 배우들의 영향력이 점차 커질 수밖에 없다. S급 배우들이 출연하는 텐트폴 작품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중국 내 한국 구작 방영이 이어지고 있다. 동시 방영까지는 다소 시일이 걸리겠지만 심의를 통과하고 있다는 점.. 2022. 12. 14. 알아두면 쓸모있는 중소형 콘텐츠 기업 1편-디앤씨미디어 ■ 요약 웹툰/웹소설 산업은 웹툰 거래액을 넘어서서 IP 비즈니스를 시도하는 기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스토리 IP 강국인 일본에서 팬덤을 구축한 웹툰 이 하반기 애니메이션화, 게임화 시도 팬덤이 형성되었다는 것은 어느 정도의 소비 수요가 뒷받침되었다는 것이다. 의 애니메이션, 게임화 성과를 주목→ 디앤씨미디어 ■웹툰 거래액 성장 둔화에 다른 스토리 IP 수익화를 통한 성장이 필요성 대두 2021년 웹툰 플랙폼 거래액은 코로나 수혜를 받으며 고성장했다. 그러나 최근 그 성장세가 주춤하고 있다. 카카오페이지의 22년 3분기 거래액은 연간으로 15% 역성장 기록 픽코마 역시 연간으로 11% 성장하는 데에 그쳤다. 이를 두고 웹툰 시장의 성장이 단기적으로 정점에 도달한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도 존재한다. 단.. 2022. 12. 14.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