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뉴스5 예스티,고압 어닐링 장비 SK하이닉스 공급 추진 (그에 따른 투자 전략)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0118 예스티, 고압 어닐링 장비 SK하이닉스 공급 추진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반도체 디스플레이 장비업체 예스티가 신규 매출원 확보를 목전에 뒀다. 성공하면 특정기업의 독점 체제를 허무는 것이어서 반도체 생산 시설을 가진 잠재 대형 고객사 관심이 높은 것으로 전 www.thelec.kr 예스티는 SK하이닉스와 고압 수소 어닐링(annealing) 장비 공급을 논의 중인 것으로 파악 현재 장비 공급 전에 성능을 평가하는 '알파테스트' 단계다 이 과정 통과 후 베타테스트까지 거치면 양산 라인에 장비 공급이 가능 저온 고압 수소 어닐링 장비는 왜 필요할까? HKMG 트랜지스터 → '저온 고압 수소 어닐링 장.. 2023. 3. 10. 엇갈리는 미래 D램 전략, 삼성·SK는 ‘EUV’, 마이크론은 ‘3D D램’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19662 [세미콘코리아2023] 엇갈리는 미래 D램 전략, 삼성·SK는 ‘EUV’, 마이크론은 ‘3D D램’ - 전자부품 현재 D램 시장 과점 구도를 구축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미국 마이크론의 미래 D램 전략이 엇갈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와 주목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EUV(극자외선)에 초점을 맞춘 반면, www.thelec.kr https://www.youtube.com/watch?v=zw-ELNtfSWE '삼성전자+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의 미래 DRAM 전략이 엇갈린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미래 D램 기술 확보를 위해 EUV에 집중 마이크론은 3D D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3D D램 관련.. 2023. 2. 3. 애플 AR/MR 헤드셋 출시 연기? http://www.joseilbo.com/news/htmls/2023/01/20230106475401.html 애플 AR/MR 헤드셋,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총체적 난국 - 조세일보 ◆…자료:트위터 애플이 차세대 먹거리로 집중하고 있는 AR(가상현실)/MR(혼합현실) 헤드셋 개발이 난항에 부딪히며 공개가 하반기로 www.joseilbo.com Apple's AR/MR headset development is behind schedule due to issues with mechanical component drop testing and the availability of software development tools, meaning that mass shipment of this device may p.. 2023. 1. 6. 꿈틀대는 '실리콘 음극재' 경쟁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19356 꿈틀대는 '실리콘 음극재' 경쟁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주요 실리콘 음극재 업체 현황배터리 용량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실리콘 음극재 경쟁이 본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이 사업을 진행 중이거나 준비하고 있는 기업은 대 www.thelec.kr ※실리콘 음극재 배터리 음극재에 실리콘(Si)을 첨가한 것 →에너지 밀도 향상, 충전 속도 단축 실리콘 음극활물질 생산 방식 첫 번째 : 나노미터 크기 실리콘을 실리콘 산화물로 감싸는 방법 충방전 수명은 길지만 초기 효율과 충방전 속도가 느린 단점이 존재 실리콘 음극활물질 생산 방식 두 번째 :실리콘 입자 표면을 탄소계 물질로 코팅하.. 2023. 1. 4.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