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콘텐츠12 중소형 콘텐츠 제작사 (에이스토리 / 키이스트 / 코퍼스코리아) 넷플릭스는 2023년 드라마 방영 편수를 전년 대비 3편(12편 →15편) 늘릴 예정 디즈니, 티빙의 콘텐츠 투자 또한 전년과 동일하거나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 전통미디어, 국내외 OTT 플랫폼들이 콘텐츠 투자를 늘리면서 중소형 제작사들에게 기회가 증가 플랫폼 확장, 수출 창구 다각화 등 산업 전반적인 Re-rating이 진행되고 있다. 중소형 제작사 입지가 제고되면서 IP에 대한 협상력 또한 증가 중 2021년 기준 제작사의 저작권 보유 비중은 30.4%까지 증가 2021년 기준, 완제품 수출(프로그램 단독 수출) 비중 53%까지 늘어났다. 금리 인상으로 인해 자본조달 비용 부담이 커질 수 있다. 콘텐츠 제작사는 IP를 보유하는 작품, IP 미보유작(OTT 오리지널) 제작을 병행하면서 자본조달 비용을 .. 2023. 2. 20. 스튜디오미르- 글로벌향 애니메이션 제작사 ■기업 개요 애니메이션 제작 및 기획 국내 타 애니메이션/ 캐릭터 업체와는 달리 애니메이션 제작 매출 비중 100%, 글로벌향 성인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며 수출 비중이 99%에 달한다. 과거 미국, 일본으로부터 OEM을 바탕으로 성장한 국내 애니메이션 사업자들은 원화, 레이아웃 등 메인 프로덕션에서 강점을 갖고 있다. 미르의 강점은 메인 프로덕션 소화 능력뿐만 아니라, 기획부터 메인 후 작업까지 진행하는 총괄 제작까지 가능하다는 점에 있다. 일반적으로 메인 프로덕션은 한 스튜디오에서만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에피소드를 일정 비율로 나뉘어 OEM 형태로 다양한 스튜디오에 할당된다. 이 과정에서 수주 단가를 낮추게 되어 작품당 마진율이 상대적으로 낮다. 실제로 미르 내부 프로젝트에서도 총괄 제작의 평균 단가는 .. 2023. 1. 16. 디앤씨미디어- <나 혼자만 레벨업>의 IP 확장성 본격화 ■ 기업 개요 2012년에 설립된 웹소설 및 웹툰 콘텐츠 공급업체 2021년 8월 웹툰 제작 전문 스튜디오인 더앤트 지분 추가 취득을 통해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편입하였다. 또한 자회사인 디앤씨웹툰비즈에 웹툰 제작 과정을 내재화하는 조직을 신설하였다. 웹툰 제작 과정을 내부화 및 전문화하여 기존 제작 시스템 대비 다수의 작품 제작 가능할 것으로 전망 ■ 투자 포인트 1- 웹툰 IP 확장 본격화되는 2023년 23년은 에 대한 스토리 및 IP가 더욱 확장될 예정이다. 2023년 1분기 외전 출시를 시작으로 나혼렙 IP 관련 사업이 시작된다. 외전 출시 이후에는 원작자가 참여하는 스핀오프 소설 연재가 2분기 시작될 예정 3분기에는 웹소설 스핀오프에 기반한 웹툰까지 런칭 예정 의 애니메이션의 경우 소니그룹의 소.. 2023. 1. 9. 알아두면 쓸모있는 중소형 콘텐츠 기업들 3편-애니플러스 ■기업 개요 1. 유스 애니메이션 콘텐츠 유통 및 판매 2. 미디어 아트 전시 회사 '미디어앤아트' 3. 드라마 제작사 '위매드' 1.유스 애니메이션 콘텐츠 유통 및 판매 애니플러스는 유스 애니메이션 콘텐츠 유통 및 상품화 사업을 하고 있다. 유스 애니메이션이란 주 시청연령이 15세 이상인 애니메이션으로, 흔히 알고 있는 키즈 애니메이션과는 별개의 분야다. 자체 보유하고 있는 케이블 TV 채널을 통해 일본 신작 애니메이션을 현지와 동시 상영하는 서비스를 국내 최초로 시작했다. 케이블 TV를 보유한 사업자는 자체 심의를 하기 때문에 자막만 빠르게 만들어서 바로 방영할 수 있다. →경쟁 우위 이를 통해 동사는 유스 애니메이션 사업에서 독보적 입지를 점하게 되었다. 애니메이션 유통은 1) 애니플러스 채널 운영.. 2022. 12. 18.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