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삼성바이오로직스 주식투자2 삼성바이오로직스 5공장 착공과 증설 효과 제 5공장 설립 1.98조원 투자 2023년 하반기에 착공하여 2025년 9월 완공될 전망 생산이 본격화되어 실적에 반영되는 시기는 2027년 예상 180,000L 생산 규모 (15,000L × 12개로 구성) 동 규모는 총 60.4만 리터(4공장 완공 후) 생산 시설 대비 30% 능력이 증가하는 것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 기준으로도 생산시설 글로벌 1위 CDMO였으나 그 위치를 더욱 강화하게 되는 것 상위 CDMO들이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구축하며 차별화 스위스 Lonza는 신기전 치료제 생산 주력 Wuxi Biologics는 바이오텍들과 협업 등 플랫폼 구축에 집중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단일항체 CMO(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분야에서 입지 강화 장기적으로는 8공장까지 생산 시설 확대가 이루어질 전망 23F.. 2023. 3. 21. 삼성바이오로직스-분석 및 투자포인트 ■투자 포인트 1. CMO 최강자 2. 바이오시밀러 신제품 출시 ■기업 개요 주요 사업은 ①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ontract Development &Manufacturing Organization, CDMO) ② 바이오의약품(바이오시밀러) 개발 및 상업화 현재 인천 송도에 총 42.4만 리터의 생산설비를 가동 중이다. 1공장 -3만 리터 2공장 -15만 리터 3공장-18만 리터 4공장 부분가동 6만, 임상용 4천리터 23년 하반기까지 4공장(총 24만리터) 준공 완료 시 생산설비는 총 60.4만리터로 증가할 전망이다. 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상업화 사업은 완전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를 통해 영위하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총 10개의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 보유 미국에선 3개, 유럽에선 5개를 .. 2023. 1. 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