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엔터29

와이지엔터테인먼트 23년 실적 전망 ■ 사업 개요 / 주요 제품 및 서비스 ■ 22년 실적 ■ 23년 실적 전망치 매출액 4,700억원 (+20.1% YoY) 영업이익 631억원 (+35.4% YoY) OPM 13.4% 당기순이익 602억원 (+28.6% YoY) 블랙핑크가 150만명 팬덤 동원이 가능한 규모의 탑티어 아티스트로 성장 블랙핑크와 관련된 활동들을 보면 재계약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 보인다. 블랙핑크 이후의 넥스트 성장 동력인 트레저의 체력 확인이 필요한 구간이라고 판단 경쟁사 4세대 남자 아이돌 대비 음반 판매량, 콘서트 동원 가능한 모객 규모 측면에서 트레저의 글로벌 팬덤 확장이 시급해 보인다. 남자 아이돌 중 일본 돔투어 진입 시기가 가장 빨랐다는 점과 오리콘 차트 판매 순위를 고려했을 때 일본 내 견조한 팬덤을 기반으로 .. 2023. 4. 16.
JYP Ent 투자 포인트 및 2023년 실적 전망 기업 개요 2018년 JYP는 국내 엔터테인먼트 업체 중 가장 선제적으로 멀티레이블 체제를 도입 연평균 두 번의 콘서트, 세 번의 음반판매, 신규 두 팀 데뷔가 가능한 구조를 갖추었다. JYP에서 돔 투어 이상 가능한 아티스는 3팀 →트와이스, 스트레이키즈, 니쥬 트와이스는 북미에서 팬덤 확대 중 스트레이키즈는 BTS 다음으로 해외 팬덤이 단단하다. 니쥬는 일본에서 돔투어가 가능한 그룹으로 성장 ITZY 22년 홈 투어에서 23년 아레나 투어 가능할 전망 2023년은 엔믹스의 성장 또한 기대된다. 엔믹스 미니 1집 초동 판매량 63만장, 총 판매량은 100만 가량될 것으로 전망 하이브,YG엔터, 에스엠, 큐브와 비교했을 때 중국에서 인기 있는 IP는 없다고 판단 아이돌 팬덤이 성장하면 관객 모객이 증가해.. 2023. 4. 16.
엔터 투자 포인트 - 멀티 레이블과 글로벌 확장 멀티 레이블 1인 체제 프로듀싱은 소속 아티스트에 회사 색깔을 일괄적으로 부여할 수 있으나, 아티스트 간 활동 공백 기간이 길 수밖에 없다. 멀티 레이블 체제 도입 시기에 따른 업체 간 체력 차이는 더욱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멀티 레이블 기대 효과 ① 프로듀싱 체계화 → 사업 지속 가능성 확보 ② 프로듀싱 캐파 확장 → IP 창출 능력 확대 및 적시성 확보 ③ 음악적 커버리지 확대 멀티 레이블 시스템 도입을 통해 멀티 IP를 구축,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사업 구조를 만들기 위함이다. 매년 신규 아티스트 데뷔, 아티스트별 연간 평균 2회 음반 발매 및 투어 활동이 가능해짐에 따라 실적 가시성 확보가 가능하다. 멀티 레이블 체제 도입을 통해 다량의 IP 생산 체제가 안정화와 동시에 다발적인 IP 가동이.. 2023. 4. 13.
디어유- 버블 구독자 수 증가와 23년 실적 전망 ■ 기업 개요 'DearU bubble(디어유 버블)' 이라는 '팬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출시 후 운영 중 'DearU bubble(디어유 버블)' 서비스는 아티스트와 팬이 1:1 프라이빗 메시지로 직접 소통하는 서비스 동사가 운영하는 팬덤 플랫폼 '버블'의 유료 가입자(Q)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22년 170만명으로 마감, 1Q23 말 215만명에 달한다. - 기존 스타들의 팬덤 확장 - 2월 카카오엔터 자회사 소속 아이브, 몬스타엑스 입점 효과 - 중국 안드로이드 출시 - 4/10부로 큐브엔터까지 입점 완료 Q의 순증세는 연내 지속될 전망 엔씨소프트가 운영했던 유니버스(15만명) 통합 효과는 2Q23까지 이어질 것으로 판단 꾸준한 Q 순증, 심플한 플랫폼 비용구조로 양호한 실적 성장 기대 ▼.. 2023. 4.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