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엔터29

JYP 2022년 4분기 실적 리뷰 및 2023년 실적 전망 ■ 4Q22 실적 Review 매출액 1,152억원 (+80.6% YoY) 영업이익 257억원 (+57.7% YoY) OPM 22.3% 당기순이익 130억원(-61.8% YoY) -음반원 646억원 -콘서트 43억원 -출연 29억원 -광고 62억원 -MD 171억원 (JYP 360 94억원) -기타 202억원 -스트레이키즈/ITZY 컴백 등으로 사상 최대 476만장 앨범 판매 -리퍼블릭 향 정산 83억원 -사상 최대 MD 매출 (171억원 +277% ) 동사 MD 매출 창출력은 2019년 대비 최소 1.5배~최대 3배까지 커진 것으로 추정 자체몰 JYP 360을 통해 수익성 역시 개선 트와이스 재계약 및 니쥬의 인세 합산으로 60억원의 1회성 원가 비용 발생 JYP 360 관련 일회성 비용 등이 증가 (.. 2023. 3. 25.
2023년 2월 K-POP 리뷰- 전년 대비 음반 2.2배 , 공연 3.7배 증가 ▶K-POP 2월 음반 판매량 643만장 (+121% YoY) 하이브 254만장 - 세븐틴 125만장, TXT 70만장, 뉴진스 41만장 등 에스엠 102만장 - NCT 74만장, 샤이니 11만장 카카오 88만장 - 더보이즈 50만장, 스테이씨 35만장 JYP 83만장 -스트레이키즈 54만장, 트와이스 24만장 ▶ K-POP 공연 모객수 57만명 (+274% YoY) JYP 27만명 (스키즈 25만명) 에스엠 21만명 (NCT 14만명) 카카오 6만명 (아이브 6만명) ▶하이브 ■ 23F 실적 매출액 1조 7,860억원 영업이익 2,116억원 OPM 11.8% 순이익 1,871억원 EPS 4,524원 시가총액 ÷ 23F 순이익(1,871억원) =38.39 ▶JYP Ent 23F EPS=2,884 원 주가.. 2023. 3. 14.
카카오의 에스엠 인수와, 하이브 추후 협력 카카오는 3월 26일까지 예정대로 1.4조원을 들여 15만원 단가(PER 32배 수준)로 공개 매수를 진행해 에스엠 지분 40%까지 확보하게 될 것 플랫폼-콘텐츠 2강 구도 네이버, 하이브, 와이지엔터테인먼트 + 위버스 vs 카카오, 에스엠, JYP+ 디어유 카카오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성공적 IPO를 위해 에스엠 인수가 반드시 필요했다. 팬덤 플랫폼은 플랫폼의 IT 기술력, UI 구축 등의 기능보다 어떤 스타가 활동하고 있는지가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BTS가 기존에는 네이버가 운영 중인 V LIVE에서 활동 중 하이브가 자사 플랫폼 위버스를 개발하며 BTS가 V LIVE에서 이탈 그 결과 트래픽을 대거 잃게 된 네이버가 V LIVE를 위버스에 양도, 대가로 위버스의 지분 45% 획득 어떤 스타가 활동.. 2023. 3. 14.
큐브엔터 (4Q22 Review + 23F 실적) ■ 4Q22 Review 매출액 410억원 (+115% YoY) 영업이익 27억원 (흑자 전환) OPM 6.6% 당기순이익 12억원 (흑자 전환) 주요 아티스트(여자아이들)의 글로벌 팬덤 확대에 기인한 엔터테인먼트 사업 부문 호실적이 전사 실적 개선세를 견인한 것으로 추정 음반/음원/공연/광고 등의 아티스트 직접 관여 매출뿐만 아니라 이익 기여도가 높은 콘텐츠(유튜브) 등 IP 관련 2차 제품 판매 증가세 동반 ■ 2023년 키워드 1.(여자)아이들 밀리언 셀러 등극 2.신인 라인업(보이그룹 1, 걸그룹1) 보강 3.코스메틱의 일본 안정화 (여자)아이들 2023년 2번의 컴백, 각각 밀리언 판매량을 예상 지난해 (여자)아이들은 첫 월드투어로 미국, 남미, 동남아, 일본 18개 도시에서 21회 콘서트 개최.. 2023. 3.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