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반도체 장비투자4

넥스틴 - 4Q22 Review ■ 4Q22 Review 매출액 219억원 (+56.4% YoY) 영업이익 97억원 (+93.9% YoY) OPM 44.3% 중국향 매출 부분이 1분기로 이연 현지 중국 기업들은 여전히 레거시 프로세스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음을 여러 채널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미국 제재에 적용되지 않는 레거시 노드에 대한 투자가 지속적으로 활발 23년 1월 일본 언론에 따르면, 일부 일본 반도체 장비사들도 미국 제재가 제한적이며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밝혔음 -18nm 이하 DRAM -128단 이상 NAND -16nm 또는 14nm 이하 시스템 반도체용 장비의 중국 수출 금지 중국의 반도체 제조 공정은 미세공정보다 레거시 공정에 집중돼왔고, 앞으로 지속될 전망 현재 발표된 캐파 목표치의 대부분은 .. 2023. 2. 7.
GST-반도체 공정용 스크러버, 칠러 업체 (23F 실적) 반도체 공정용 스크러버(유해가스 정화 장비) 및 칠러(온도조절 장비) 개발 및 생산업체 삼성전자, 마이크론, YMTC, CXMT 등 국내외 고객사에게 장비를 납품 스크러버는 친환경 트렌드에 맞춰 전방 업체들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 중 동사는 burn-wet, plasma 등 가스 정화기술을 갖추고 있어 다양한 국내외 고객사의 수주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 반도체 제조사들은 ESG 활동 강화 목적으로 스크러버 적용처를 확대 반도체 공정 장비 공급사와 비교해 보면, 스크러버 공급사 여전히 저평가 저평가의 가장 큰 이유는 스크러버가 증착장비나 식각장비와 같은 전공정장비가 아니며, 전공정장비 작동을 돕는 보조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으로 판단 ■ 스크러버 회사 리레이팅 위한 2가지 1. 공정용 불소가스가 다양해져 .. 2023. 1. 20.
오로스테크놀로지 -반도체 Process Control (공정 제어)를 알아보자 5편 ■ 오로스테크놀로지 투자 포인트 ①노광 장비와 연동해 수요 증가하는 Overlay 계측(측정) 장비 ②고객사 다변화 ③신규 장비(박막 두께 측정 장비) 출시에 따른 매출 성장 ■ 리스크 요인 주요 고객사 SK하이닉스 설비투자 축소 →고객사 다변화로 실적 변동성 완화 필요 ■ 산업 분석 반도체 공정용 Overlay 계측(측정) 장비는 반도체 공정상 미세한 회로 패턴이 수없이 적층되는 과정에서 하부 패턴과 상부 패턴 간의 정렬 상태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장비다. 반도체 DRAM의 회로 선폭이 14나노 미터급으로 좁아지는 등 미세화 공정이 심화됨에 따라 요구 기술력이 급격히 높아져 오로스테크놀로지와 미국 KLA가 관련 장비를 공급하고 있다. 오로스테크놀로지가 상대적으로 후발 주자 미세화 공정이 심화됨에 따라 관.. 2022. 12. 14.
파크시스템스-반도체 Process Control (공정 제어)를 알아보자 4편 ■ 파크시스템스 투자 포인트 ① AFM(원자현미경) 수요처 지속적인 확대 ②기술력에 근거한 장기 수주 전망 밝음 ■ 기업 개요 AFM(원자현미경) 개발 및 생산, 판매한다. AFM은 나노 수준까지 계측 가능해 소재화학, 생명과학 등에서 쓰이며 반도체 공정 미세화가 진행됨에 따라 관련 산업용 수요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 매출 구성 (2021년 기준) 연구용 AFM 13% 산업용 AFM 78% 기타 (소모품 및 C/S) 9% 수익 면에서는 산업용 AFM이 연구용보다 10~20% 마진이 높다. 주력 제품은 Park NX-Wafer(반도체 용) 신제품으로 작년 11월 출시한 Park NXHybrid WLI(기존의 반도체 후공정 3D 측정장비 WLI와 AFM의 기술 장점을 합친 것)는 대당 가격이 50~70.. 2022. 12.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