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엔터

K-POP 투자 노트 1- 아티스트 팬덤 관리 및 활용을 잘하는 회사를 찾아라.

by 아라보자_ENTJ 2022. 12. 15.
반응형

■ 선요약

 

1. 유튜브 및 3세대 아이돌 낙수 효과로 K-POP 글로벌 팬덤 확대

 

2. 유튜브 구독자 수, 구보 판매량, 앨범 초동 판매량 등을 통해 팬덤 크기 확인

 

3. 앨범을 구매한 팬층은 로열티가 높고, 아티스트 관련 상품에 대한 가격탄력성이 낮다.

 

4. 보유 IP(아티스트) 활용을 잘하는 기업을 찾아보자. 아티스트 팬덤을 규모감 있게 성장시키고, 팬덤 장사를 잘하는 회사

 

5. 슈퍼 IP 보유 여부, 신규 IP 공개 가시성 정도를 파악해 투자하자.


케이팝은 무대 구성, 퍼포먼스 비주얼 콘셉트 등 비주얼이 중요한 음악이다.
비주얼 음악이기에 코로나 시기에 유튜브 수혜를 직접적으로 받았고, 
BTS와 블랙핑크 낙수 효과로 글로벌 팬덤 확대 중이다.

K-POP의 글로벌 확산세 지속으로 인한 수출 증가를 확인할 수 있다.

출처: 케이프 투자증권

과거에는 아시아권에만 영향력이 미쳤다면,

유튜브라는 글로벌 플랫폼을 통해 미국/유럽/ 남미 등 지역적으로 K-POP 수요 및 구매층이 확장되고 있다.

 

아티스트의 디지털 싱글이 됐든 신규 음원 발매 시마다 
아티스트 유튜브 채널 구독자 그래프는 한 단계씩 레벨 업 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팬덤 유입

출처: 한화투자증권

아티스트 구작 판매량 증가는 신규 팬덤 유입의 신호이다.

JYP는 트와이스, 스트레이키즈 구보 판매량 기여가 높다. 22년 들어서는 ITZY의 기여가 높아지는 추세

■ 빌보드 차트인 빈도 및 비아시아 지역 공연 증가


빌보드 메인차트는 '빌보드 핫100' 차트와 '빌보드 200' 차트
빌보드 200은 앨범의 인기를 평가
빌보드 핫100 차트는 한 곡의 미국 내 인기, 대중성을 보여주는 지표
K-POP 아티스트는 일반적으로 핫100 차트보다 빌보드200 차트에서 강점을 보인다.
실물 앨범을 대량으로 구매하는 팬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출처: 케이프투자증권

18년도에 5개 K-POP 그룹 빌보드 200에 차트인
22년 8월 기준 11개 그룹이 빌보드 200에 차트인
차트인 그룹 증가, 평균 순위도 높아지면서 K-POP 대중성 자체가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빌보드 차트에서 K-POP 아티스트 노출이 많아지는 것은 
미주 지역 음악 소비자의 K-POP 접근성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K-POP의 미주 지역 인지도 상승과 팬덤 확산 →

빌보드 차트인 빈도 상승 →

추가적 인지도 상승 →팬덤 확대


음원 소비자가 실물 음반 구매자로 넘어오면서부터 본격적인 수익화가 시작된다.
단순한 음반 판매량 보다도
발매 일주일 내 판매된 수량인 '초동 판매량'이 좀 더 실질적인 팬덤의 규모를 잘 나타낸다.

출처: 한화투자증권

실물 음반은 Purchase 단계에 있어 시작에 불과
이 단계에 진입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서비스나 상품의 확대 방식은 무궁무진하다.
로열티가 매우 높고, 그만큼 가격탄력성도 낮다.
아이돌 그룹이라는 원천 IP를 활용한 대표 사례이며 앨범, 굿즈 등 모두 IP 매출의 대표적 예시다.

출처: 한화투자증권

질 좋은 아이돌 IP를 길러내기 위하여
아이돌 그룹의 대중성과, 충성도 높은 팬덤을 쌓아 올리는 것이 중요하다.  

 

IP 활용성 강화 → 팬덤 규모 확대 → IP 수익화 시점 조기화 

 

아이돌이라는 원천 IP의 확장성과 경제성의 충분조건은
'규모감 있는 팬덤'

여자 아이돌은 남자 아이돌에 비해 팬덤 구매력이 낮다는 인식이 있었다.
요즘은 실물 여자 아이돌의 실물 음반 판매량이 기대치를 상회하는 퍼포먼스를 내고 있다는 점에 주목

4세대 여자 아이돌들 대중성, 팬덤 모두 확보

신인 아티스트 수익화 시점이 빨라진 만큼 이제는 보유 아티스트 라인업, 즉 IP 보유 개수가 중요해졌다. 

 

K-POP 관련 투자를 할 때,

업체별 보유 IP, 부차적으로 IP 활용성 (가동성, 확장성)에 주목해야 한다.
슈퍼 IP 보유 여부, 신규 IP 공개 가시성 정도를 파악해 투자하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