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 개요
치과 관련 장비와 솔루션을 개발하는 디지털 덴티스트리 기업
디지털 덴티스트리란 치과의 치료 과정을 디지털화는 치과산업의 Digital Transformation을 의미한다.
동사는 영상장비(CBCT)에서 소프트웨어, 3D프린터, 밀링머신까지
치과치료 전주기를 아우르는 디지털 덴티스트리 솔루션을 확보
디지털 덴티스트리를 모두 구현 가능하기에 병원과 치기공소의 니즈에 맞게 맞춤 판매가 가능
(개별 제품만 판매, 패키지 형태로 솔루션 판매도 가능)
▼ 디지털 치료솔루션 매출 비중 확대
▼ 신제품 중심으로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사업구조 재편 및 확대
장비 판매가 핵심 비즈니스이기에
통상 매출의 60% 이상이 하반기에 몰리는 계절성이 존재
소모품 비중이 적어 신규영업 의존도가 높다.
▼ 국내에서 제조해 국내 및 해외로 판매
22년 매출원가율 51.5%
21년 매출원가율 64.6%
▶ Ray China:
CICC(중국국제금융공사)와 JV를 맺고 Ray China를 설립
표준화된 서비스를 공급하는 프랜차이즈형 치과병원에
장비를 패키지 형태로 판매하는 디지털 토탈 솔루션 공급이 중요
신규 병원 설립 시 장비 구입 비용이 전체 설립 비용에서 50%를 차지하기 때문에
패키지 장비를 가성비 좋게 공급하는 것은 중요한 경쟁력
2024년 초까지 중국 공장 증설 완료와 병원 인수 등으로
중국에서 종합적인 치과 서비스 DSO(Dental Service Organization)을 구축할 예정
신규 공장으로 이전하며 연간 최대 2,400억원 매출액 CAPA 확보
경쟁사인 바텍에 비해 전체 매출에서 선진국 시장보다 아시아 시장 비중이 크다.
선진국 비중을 앞으로 높여나갈 필요가 있다.
투자 포인트 1:
중국 시장에서 성장
중국향 수출의 성장성 회복
동사는 장비업체로써 소모품 비중이 적어 신규영업 의존도가 높다.
코로나 기간 봉쇄 조치로 지역 간 이동이 어려워 신규영업에 상당한 애로사항을 겪었다.
최근 관세청 수출 데이터를 참고하면 2023년부터 수출물량 회복이 감지된다.
VBP 정책 수혜도 기대
치과용 임플란트 가격이 대폭 할인되는 VBP 정책이 중국에서 시행
가격할인에 의해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는 상황
동사는 임플란트 식립의 후방산업으로 수혜가 가능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 구강 외 영상데이터를 촬영하는 CBCT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동사는 임플란트 식립의 전 과정을 디지털화할 수 있는 솔루션을 보유
중장기적으로 중국시장 성장에 대비하기 위해 수직계열화 전략을 실행
22년 7월 중국 CBCT 점유율 4위인 현지 유통사(이지쉥)을 인수
이를 통해 직판망 확보, 더불어 판가 인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수직계열화 전략을 위해 자기자본 뿐만 아니라 전략적 투자자를 활용하는 전략 병행
22년 10월 중국 최대 IB인 CICC의 관계사 Ascent Capital로부터 약 54억원의 자금을 유치
투자 포인트 2:
레이페이스
레이페이스는 안면 스캐너로 동사의 디지털 덴티스트리 역량을 더욱 강화시킬 것으로 기대
레이페이스는 2020년 처음 출시
시행착오를 통해 현재 폼팩터로 변경, AI 기술을 활용하여 소프트웨어 기능을 대폭 강화
2개의 치아 카메라, 4개의 안면 카메라로 구성돼 있다.
환자의 안면 데이터는 구강 스캐너/모델 스캐너의 구강데이터와
CBCT의 얼굴 뼈 데이터와 정합되어 치과 진료에 활용된다.
최근 안면 데이터의 중요성이 상당히 높아지고 있다.
①환자 커뮤니케이션 강화
→ 치료 결과물을 미리 알아볼 수 있어 향후 치료 과정에 대한 동의율을 높이는데 활용
②보다 정확하고 심미적 기능이 우수한 보철물 제작 가능
대부분의 글로벌 치과기업들의 환자의 얼굴 사진을 바탕으로 치료 후 모습을
시뮬레이션하는 Smile Design 솔루션을 강조
레이페이스는 ①빠른 속도와 ② 다양한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2가지 장점이 있다.
6개 카메라로 촬영 후, 자동화 기능에 의해 하나의 3차원 데이터로 정합하는데 1분이 채 걸리지 않는다.
레이페이스는 의료기기가 아닌 일반기기이다.
의료기기 판매를 위해서는 필요한 국가별 의료기기 인증에 소요
일반기기에 빠른 판매가 가능하다.
다수의 치과 기업, 치기공소, 딜러들과
레이페이스 판매 계약을 체결하거나 계약을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레이페이스는 구강스캐너/ CBCT, CAD/CAM과 연동이 쉽다.
딜러의 경우 레이페이스와 다른 디지털덴티스트리 제품을 패키지로 엮어 판매할 수 있다.
■ 2023년 실적 전망치
매출액 1,693억원 (+31.2% YoY)
영업이익 289억원 (+78.4% YoY)
OPM 17.1%
순이익 194억원 (+142.5% YoY)
EPS 1,319원
<주요 지역별 매출 전망치>
-중국 368억원
-미국 231억원
-유럽 126억원
-주력인 중국시장은 현지유통사 인수 효과 이어지며 368억원 전망
-미국은 디지털덴티스트리 트렌드 이어지며 231억원 전망
-유럽은 메가젠임플란트향 ODM 출고 효과로 126억원 전망 (2027년 5월까지 확정된 계약 금액 524억원)
2023년에는 대부분 지역에서 영업활동이 정상화
구강스캐너, 안면스캐너 등 신제품 효과 기대
2021~2022년은 사옥 및 공장 매입으로 인해 CAPEX가 크게 증가 (지난 2년간 529억원)
2023년 CAPEX는 50~100억원으로 정상화될 것으로 예상
■ 밸류에이션-주가 차트-매매 주체별 수급
시가총액 ÷ 23F 순이익(194억원)
=22.6
▼ 2022-06-22 저점 형성 후 최근까지 상승 추세
▼ 기관, 외인 모두 매수 포지션이기에 주가는 상승 중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올- 기업 분석 및 23년 실적 전망치 (0) | 2023.04.03 |
---|---|
사교육비 동향과 교육 관련주(메가스터디교육 / 정상제이엘에스) (0) | 2023.03.29 |
인텔리안테크- 22년 실적 및 23년 실적 전망 (0) | 2023.03.27 |
저궤도 위성통신 개념 정리 (0) | 2023.03.26 |
동국제약 2022년 실적 및 2023년 실적 전망 (0) | 2023.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