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콘텐츠

K콘텐츠의 구조적 성장 2편-SBS

by 아라보자_ENTJ 2022. 12. 14.
반응형

https://arabozaeverything.tistory.com/4

 

K콘텐츠의 구조적 성장 1편-OTT 경쟁 및 이익구조로 인한 수혜

최근 전 세계에서 가장 트렌디한 서브컬처의 제조국이 어딜까? 대한민국이라고 생각한다. 아티스트 개인들의 역량도 중요하지만, 제조와 마케팅하는 한국 기업들의 역량도 성공에 크게 작용했

arabozaeverything.tistory.com

 

1.OTT 경쟁으로 인한 K콘텐츠 제작사 수혜

2. 금리 인상 및 비용 통제 환경 → 현금 여력이 충분하여 양질의 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 제작사만 생존할 수 있는 환경

 

상기 두 가지 요인을 고려했을 때, SBS는 괜찮은 투자처라고 생각한다.

 

▶SBS 투자 포인트

 

1.기업의 효율적인 제작비 통제

2.광고 수익의 Cash Flow 바탕으로 한 사업 수익의 성장


▶ 최근 SBS 실적 추이(매출액/영업이익/순이익)

2022.3Q 2,597억 / 380억 / 328억

2022.2Q 2,521억 / 466억 / 511억

2022.1Q 2,734억 / 614억 / 442억

2021.4Q 2,912억 / 33억 / -52억

2021.3Q 3,121억 / 871억 / 590억


SBS 수익화 모델은 

①광고수익
②사업수익

 

광고 수익은 TV, 라디오의 시청률과 연동되는 가장 기본적 캐시카우
2021년 말 기준 48% 매출 비중 차지을 차지 했다.

주 수익원인 광고 산업의 경우 
4분기→2분기→3분기→1분기의 뚜렷한 계절성을 보인다.

출처:IBK투자증권

'사업 수익'은 보유 콘텐츠를 별도의 가공 없이 국내외 OTT, 인터넷(유튜브 등), IPTV 등을 통해 재판매하는 사업
사업 수익은 국내외 콘텐츠 유통, 온라인 유통, 재송신 수익, 계열사 로열티 및 중계권 재판매 등으로 구성된다.

 

사업수익 내 부문별 과거 4개년(2018~2021) 
연평균 성장률은 아래와 같이 기록했다.

온라인 유통 +38.9%
국내 유통 +11.4%
재송신 수익 +11.1%
해외 유통 +6.8%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온라인 유통 부문의 경우
국내 1위 OTT 플랫폼 '웨이브'의 가입자 수 증가와 
유튜브 채널 운영을 통한 광고 수익에 기인한다.

출처: IBK투자증권

SBS가 집행하는 비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항목은 '콘텐츠 제작비'이다.
드라마 라인업 축소와 함께 예능 프로그램을 전진 배치하는 등 
유연한 편성 시스템을 통해 효율적 제작비 집행하고 있다.(효율적 제작비 통제)


3Q22 연결 이익 380억원

자체 제작(스튜디오S/ A&T/ 허브 등)을 바탕으로 이익 개선 입증하였다.
주요 자회사인 스튜디오S의 분기 영업이익 1Q22 5억 →3Q22 49억원 
제작뿐만 아니라 관련된 유통/VFX들의 이익 내재화로 스튜디오S뿐만 아니라 허브/A&T에서도 이익 점증

①스튜디오S (드라마 제작)
②A&T (세트, 미술, VFX 담당)
③허브 (유통 담당)


23년 사업수익 전망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①스튜디오S 대형화
②드라마 제작 Capa 증가 (22년 12편 →23F 15편)

23년 <낭만닥터>, <모범택시>, <열혈사제> 등 인기 많았던 드라마의 시즌2가 방영 예정이다.
시즌1에서 검증된 성과 기반으로 광고 패키지 단가를 높게 세팅할 수 있다.

출처: 신한투자증권

■ 23F 실적

매출액 1조 1,809억원
영업이익 1,755억원 
OPM 14.9%
지배주 순이익 1,212억원
EPS 6,638원

출처: 신한투자증권
2022-12-14 종가 기준 SBS 시가총액은 6,571억원

시가총액(6,571억원) ÷ 23F 순이익(1,212억원)

=5.42

 

23년에 벌어들일 예상 순이익 5.42배에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다.

120일 이동평균선이 저항선으로 작용하고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