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타105

비만 치료제와 투자 - 위고비, GLP 개념 및 한미약품 비만 문제가 심각한 미국에서 최근 체중감량 효과를 대폭 늘린 신약들이 FDA 허가를 받으면서, 비만 치료제의 수요가 공급을 넘어서는 속도로 급증 비만 치료제는 1959년 Phentermine의 FDA 승인 이후 60년 넘게 판매 심각한 부작용들로 인해 오랜 기간 매출이 제한적 이를 개선한 GLP-1 효능제 '삭센다'가 2021년 11.2억 달러 매출을 달성하면서 첫 블록버스터 비만약이 탄생 삭센다보다 투약 횟수가 적고 체중감소 효과는 큰 GLP-1 효능제 ‘위고비’, ‘마운자로’의 2022년 미국 처방액이 각 $30억, $19억 (매출 $10억, $5억)을 달성 ■ Glucagon Like Petide-1 (GLP-1) Glucagon Like Petide-1, 인체 내에서 자연적으로 분비되는 호르몬 인.. 2023. 4. 9.
오리온- 중국 리오프닝 수혜주?(23년 실적 전망치) 가격 인상보다는 점유율 확대 전략을 주력 이를 위해서는 제품 경쟁력 제고, 회전율을 높이는 것이 핵심 - 신제품 출시 - 채널 확장에 따른 점유율 상승 - 카테고리 확장 (견과바, 육포, 생수, 양산빵,유음료 등) - 지역 확장(인도 & 미국 법인, 러시아 3공장 등) 올해 해외 전 지역에서 공격적 투자가 예정 Capex 투자 규모는 전년대비 2배 이상 증가한 2,000억원 이상으로 예상 중국은 공격적 신제품 출시를 통해 점유율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특히 경쟁업체들과 다르게 가격을 인상하지 않고 제품 경쟁력만으로 실적을 개선되고 있다. 제로 코로나 정책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며 내수 소비 경기가 점진적으로 회복 → 실적 개선도 빠를 것 중국은 스낵 수요 증가에 따른 증설을 검토 중 시장 성장률이.. 2023. 4. 7.
플리토- AI 적용 서비스 확대, 언어 데이터 수요 증가에 따른 수혜 ■ 기업 개요 자체 번역 앱 기반 플랫폼 서비스 및 언어 데이터 판매를 영위 2021년 기준 173개국 1,000만명 이상이 사용하는 번역 플랫폼 25개 언어를 지원, 일일 50만 개의 데이터가 생성된다. 수익모델은 1) 플랫폼 번역 서비스, 2) 생성/가공된 언어 데이터 판매 K-콘텐츠 글로벌화에 대한 지원을 통해 사업 확대 전문 번역 서비스 및 관련 데이터를 바탕으로 국내 플랫폼 업체들과 번역 계약을 체결 웹툰,웹소설 등에 현지화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매출액 상당 부분이 자사 플랫폼을 통해 수집된 언어 데이터를 판매하는 데이터 판매 부문에서 발생 - 데이터 판매 65.9% - 플랫폼 서비스 25.6% - 해외 법인 8.5% ▶ 플랫폼 서비스 플랫폼을 통한 번역 서비스에서 .. 2023. 4. 6.
바이오니아 - 탈모 증상 완화 기능성 화장품 코스메르나 ■ 기업 개요 핵심 유전자 기술을 개발하여 이를 바탕으로 분자진단, 프로바이오틱스, RNAi 신약개발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팬데믹 기간 동안 PCR 시약 및 진단키트 매출을 통해 2020년 급격한 실적 성장을 이루었으나, 코로나19 특수가 종료됨에 따라 영업이익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매출액은 견고 동사의 Cashcow인 프로바이오틱스(BNR17)의 실적 성장세에 기인 ▲ 매출원가율 20%대 코스메슈티컬은 동사의 새로운 Cashcow로 기대되는 사업 분야 코스메슈티컬 화장품(Coemetic)과 의약품(pharmaceutical)의 합성어로 단순한 기능성 화장품에 의약품의 전문적인 치료기능을 합친 제품을 일컫는 말 현재 출시를 앞두고 있는 CosmeRNA(코스메르.. 2023. 4.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