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는 2017년 DDR5, HBM3 표준사항을 공개
상용화 시점을 19년 이후로 예상했으나 다소 지연된 상황
최근 DDR5, HBM3로의 기술 전환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고객사와 서버용 DRAM 제품군의 차세대 제품 상용화를 위한 협업이 지속되고 있다.
IP 사업자의 관점에서 생성형 AI와 같 은 고용량 워크로드,
높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은 메모리 IP 수요의 촉매가 될 수 있다.
GPU 및 메모리 수요가 증가할수록 동사의 외형 성장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
현재 CXL 1세대 제품들에 한해 시스템, 실리콘 IP 매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
DDR5로의 전환은 RCD(Register Clock Driver: DRAM과 CPU 사이에서
명령어, 신호 등을 재분배하는 칩) 프리미엄을 확대 시킬 것으로 예상
DDR4는 출시 이후 7년이 지나 가격이 안정화 구간에 진입
DDR5의 경우에도 출시 이후 ASP의 안정화까지 유사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
동사는 이에 따라 프리미엄을 장기적으로 누릴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최근 SK하이닉스와 10년 장기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CXL(Compute Express Link)는 오픈형 메모리 인터커넥트 표준
호스트 프로세서와 CXL 디바이스 간 저지연 고대역폭의 메모리 접근 환경을 구성
PCIe 5.0 인터페이스 기반의 모든 시스템에서 고속 포트로 기능 적용 가능
마이크론의 경우 3D Xpoint 옵테인 메모리 개발을 중단하고
CXL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CXL이 차세대 기술로 부상한 이유는 특정 벤더에 특화된 호환성 문제가 없는 산업 표준이 정립됐기 때문이다.
CXL 컨소시엄에는 삼성, 델, IBM, 인텔, 화웨이, 구글 등 130개 이상의 글로벌 벤더들이 참여
PCIe의 뒤를 이을 차세대 인터커넥트 기술로 평가
시장 트렌드는 오픈형 플랫폼 적용이기 때문에
CXL 채용 확산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돼
동사의 구조적 성장 전망
23F EPS 1.77 $
24F EPS 2.11 $
주가 ÷23F EPS(1.77 $)
=33.49
주가 ÷24F EPS(2.11 $)
=28.09
'해외 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벅스(SBUX US)- FY 2Q23 실적 Review (0) | 2023.05.04 |
---|---|
KLA-FY 3Q23 Review (0) | 2023.05.03 |
아마존(AMZN US)-1Q23 실적 Review (0) | 2023.04.30 |
일라이릴리 (LLY US)- 1Q23 실적 리뷰 (3) | 2023.04.28 |
텍사스 인스트루먼츠(TXN US)-1Q23 실적 Review (0) | 2023.04.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