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Q23 실적 리뷰
매출액 69.60억 달러(-11% YoY)
영업이익 17.25억 달러(-38% YoY)
OPM 24.9%
당기순이익 14.64억 달러 (-38% YoY)
EPS 1.62 달러
코로나19 항체치료제 매출액 제외 시 매출액 증가율 +10%
유방암치료제 버제니오 (7.5억 달러, +60.1% YoY)
제 2형 당뇨병 치료제 자디앙(5.8억 달러, +37.9% YoY)
버제니오는 최근 FDA 라벨 확장 승인을 받으면서 기존 초기 유방암 환자뿐만 아니라 후기 유방암 환자에게도 처방이 가능해져 향후 매출 증가가 예상된다.
자디앙은 지난 12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임상 3상 결과에서
HbA1c(평균 혈당 지표)를 0.84% 감소시키는
우수한 효력을 공개해 FDA로부터 추가 신약 승인을 받았다.
현재 청소년 대상 당뇨병 치료제는 메트포르민이 유일해 자디앙의 잠
재적인 매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상황
마운자로(당뇨) 매출액 5.7억달러(+104% QoQ) 기록하며 컨센서스 대폭 상회
임상 후기 단계 물질의 연구개발비 증가
후기 파이프라인 개발을 위한 R&D 비용(+23.3%) 및
신제품(비만 치료제 마운자로, 맨틀세포림프종 치료제 제이피르카 등)
출시에 따른 마케팅 비용(+12.3%) 증가로 영업이익 감소
영업이익률 하락 OPM 24.8%(-10.7%p)
비만 치료제 마운자로(성분명 터제파타이드)에 대한
임상 3상(SURMOUNT-2) 데이터 발표
작년에 발표한 SURMOUNT-1 임상 결과 대비 체중 감소율 낮았다.
SURMOUNT-2는 T2D 동반된 비만 및 과체중 환자 대상이라는 점에서 임상 데이터는 긍정적
연말까지 캐파 두 배로 증설 목표 달성 위해
인크레틴 의약품 생산의 핵심 공장인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RTP(Research Triangle Park) 내 생산라인의 완전가동 시점이 중요
FDA 실사 후 연내 완전가동 예상
지난 1월 RTP 생산시설 내 여러 개의 생산라인을 추가 확장 계획을 발표
추가 생산라인의 예상 완전가동 시점은 2027년
22년 6월에는 노스캐롤라이나에 위치한 콘코드 생산시설을 착공
이 시설은 2024년에 가동 예정
2025년에 완전 가동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릴리는 캐파 증설을 통해 미국 외 지역에서의 런칭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
자체적인 캐파 증설에만 의존하지 않고
병행전략을 활용해 다양한 시장에서의 접근성을 위한 협상 진행 중이라고 지난 2월 언급한 바 있다.
릴리의 인하우스 캐파도 공격적으로 확장하는 상황에서,
한미약품이 멀티소싱 및 듀얼소싱 후보군으로 올라올 가능성도 있다.
■23년 주요 R&D 이벤트
① 빠르면 연말에 터제파타이드(비만) 미국 FDA 승인
→ 터제파타이드가 비만치료제로 빠르면 올 연말에 미국에서 허가될 경우 24년부터 본격적 판매
② 도나네맙(알츠하이머) 임상3상 데이터 발표 및 정식 허가신청
③ 레브리키주맙(아토피) 미국 허가
④ 미리키주맙(궤양성대장염) 허가
⑤ 1H24 터제파타이드 유럽 승인여부 결정
→ 하반기 내 유럽 출시 목표
마운자로(물질명: 터제파타이드, 적응증: 당뇨병)는 향후
메가블록버스터 의약품이 될 것으로 판단
■ 실적 전망-밸류에이션-차트
23년 매출액 가이던스 312~317억 달러로 약 9억달러 상향 조정
상향된 가이던스 9억 달러 중 약 6.5억 달러는 환율 효과 (강달러)
Non-GAAP EPS 8.35~8.55달러에서
8.65~8.85달러로 상향 조정
GLP1/GIP 마운자로(당뇨),
GLP1 트룰리시티(당뇨),
CDK4/6 버제니오(항암),
SGLT2 자디앙(당뇨) 판매량 증가가 성장 주도 전망
23F EPS로 8.65$ 가정
주가 ÷23F EPS
=45.13
배당금 4.52$ (연간)
배당락일 ( Ex-Dividend Date ) : 2,5,8,11월
배당금 지급일 ( Payment Date ) : 3,6,9,12월
일라이 릴리(LLY US) 분석 및 23년 실적 전망
동사는 1923년 세계 최초로 인슐린 상업화 당뇨 질환에서 강점을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빅파마 동사는 제넨텍으로부터 인간 인슐린을 기술 도입(매출의 6% 로열티 지급 조건)하여 임상시험을 진
arabozaeverything.tistory.com
비만 치료제와 투자 - 위고비, GLP 개념 및 한미약품
비만 문제가 심각한 미국에서 최근 체중감량 효과를 대폭 늘린 신약들이 FDA 허가를 받으면서, 비만 치료제의 수요가 공급을 넘어서는 속도로 급증 비만 치료제는 1959년 Phentermine의 FDA 승인 이후
arabozaeverything.tistory.com
'해외 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KLA-FY 3Q23 Review (0) | 2023.05.03 |
---|---|
아마존(AMZN US)-1Q23 실적 Review (0) | 2023.04.30 |
텍사스 인스트루먼츠(TXN US)-1Q23 실적 Review (0) | 2023.04.27 |
비자(V.US)-2QFY23 실적 리뷰 (0) | 2023.04.27 |
존슨앤존슨 1Q23 실적 및 2023년 가이던스 (2) | 2023.04.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