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바이오니아 - 탈모 증상 완화 기능성 화장품 코스메르나

by 아라보자_ENTJ 2023. 4. 4.
반응형

■ 기업 개요

 

핵심 유전자 기술을 개발하여 이를 바탕으로 
분자진단, 프로바이오틱스, RNAi 신약개발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출처: 동사 사업보고서

팬데믹 기간 동안 PCR 시약 및 진단키트 매출을 통해 
2020년 급격한 실적 성장을 이루었으나,
코로나19 특수가 종료됨에 따라 영업이익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매출액은 견고
동사의 Cashcow인 프로바이오틱스(BNR17)의 실적 성장세에 기인

출처: 네이버 증권

▲ 매출원가율 20%대

 

코스메슈티컬은 동사의 새로운 Cashcow로 기대되는 사업 분야

코스메슈티컬
화장품(Coemetic)과 의약품(pharmaceutical)의 합성어로 
단순한 기능성 화장품에 의약품의 전문적인 치료기능을 합친 제품을 일컫는 말

 

현재 출시를 앞두고 있는 CosmeRNA(코스메르나)로 코스메슈티컬 시장 진출 
코스메르나는 RNA(siRNA) 유전자 기술로 탈모 증상 완화 기능성 화장품

▶프로바이오틱스(유산균)

 

자회사 AceBiome의 기능성 유산균 브랜드 BNR17
건기식 시장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22년 YoY 성장
22년 기준 국내에서만 1,622억원 매출 (OPM 16.5%)를 기록
기존 매출의 대부분은 건기식(유산균)이 차지

홈쇼핑에서 주로 판매되고 있다.

출처: 동사 사업보고서
출처: 동사 사업보고서

2018년 UAS Labs에 라이선스아웃 있었으나
현재 해외에서 사업은 큰 진전이 없는 상태
올해 계약이 만료되기에 
해외 사업에 대한 본격적 의사결정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미국 라이선스아웃, 중국 진출 등 추가 성장모멘텀 있을 수 있다.

출처: 동사 사업보고서
출처: 동사 사업보고서

▶진단 장비
진단키트 관련주로 상승한 적 있으나, 매출 감소중

 

▶탈모 화장품

현재 출시를 앞두고 있는 CosmeRNA(코스메르나)는 동사의 새로운 Cashcow로 기대된다.
코스메르나는 RNA(siRNA) 유전자 기술로 탈모 증상 완화 기능성 화장품
기존 처방약인 프로페시아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에서 자유로우며,
국내에서 진행된 인체 적용 시험 결과에 따르면
처방약과 유사한 수준의 효능을 보이고 있다.

기존 탈모치료제인 프로페시아는
5a-환원효소를 차단하여 테스토스테론과 결합하여 생성되는 DHT 생성을 억제하는 기전
그러나 DHT는 발기부전, 성기능강퇴, 부종 등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 

코스메르나는 DHT 생성 후 이와 결합하는 안드로겐 수용체를 억제하는 기전
호르몬에 직접적 영향을 주지 않고 탈모로 이어지는 마지막 연결고리만 억제

유럽과 영국향 기능성 탈모 화장품 시장 진출을 위해 
안정성 평가를 받았고,  제품등록 완료

22.7월 독일 Dematest Excellent 5-star (안정성)
22.9월 유럽 CPNP(화장품 등록포털) 안정성보고서 수령
22.12월 유럽 CPNP 등록
23.1월 영국 화장품인증포털 등록 

초도물량 생산 및 런칭은 이르면 4월, 늦어도 23년 상반기내로 예상된다.
1H23 내 유럽 시장 런칭 후
온라인(자사몰, 유통플랫폼)을 통한 초도물량 약 10,000여개 예상
코스메르나 단가를 개당 30만원 가정 시, 약 30억원 수준 초도물량 판매 예정

현재 보유하고 있는 CAPA(5대)가 최대 가동된다는 가정 하에
연간 1,200~1,800억원 수준의 매출이 가능
설비를 증설하는데 약 2개월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파악
수요 증가에 따른 탄력적 설비 증가 또한 가능한 것으로 예상
→ 단기간 내 CAPA 부족에 대한 우려는 없을 것으로 판단


보유한 공장 부지 내 약 10배에 달하는 설비 증설이 가능
향후 최대 1,8조원 수준의 CAPA를 보유할 수 있다.


▶ 자체 RNA 올리고 합성기

 

동사는 지난해 자체 대용량 합성기 개발을 통해
설비투자에 비용을 약 1/10 수준으로 대폭 감소

출처: 바이오니아


상업화 단계에서의 siRNA 기반 치료제 및 화장품은 생산비가 높다는 리스크를 지닌다.
원료 합성에 필요한 대용량의 DNA, RNA 합성기는
해외 주요 업체 2곳 정도만 개발 및 판매 중인 상태로,
장비 가격이 고가이며, 
CosmeRNA용 siRNA 원료합성에 필요한 프로토콜이 없기 때문이다.

 

동사만의 플랫폼인 SAMiRNA 생산 프로토콜 상용화를 이뤘다.
이를 통해 생산비 절감, 고마진 확보가 용이해져
CosmeRNA의 글로벌 상용화 시 가파르게 상승할 실적 기대


SAMiRNA를 통한 신약 개발 가능성 또한 크다.


23-04-04 종가 기준 시가총액 1조 2,195억원

▼ 23-02-03 부터 23-04-04까지의 주가 흐름과 매매 주체별 수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