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IDM 및 파운드리

반도체 산업 리포트 정리(ChatGPT가 수요 Drvie)

by 아라보자_ENTJ 2023. 1. 26.
반응형

■ 삼성전자 Capex cut을 단행할까?

 

Capex cut은 최소 3개 분기 이후부터 공급 조절 효과 나타난다.

자칫 수요가 회복되고 판매를 늘려야 할 시점에 공급이 줄어드는

미스매치가 발생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어 Capex cut 쉽지 않다.

 

강도 높은 재고 조정 결과

22년 말 기준 고객사 재고 수준은

모바일 6~7주, 하이퍼스케일러 8~9주 수준으로

22년 3분기 말 대비 하락했을 것으로 추정

 

■ 4월 현물(spot)가격 인상?

 

하기 두 가지 근거로 23년 4월 현물(spot)가격 인상 전망

 

 하이퍼스케일러 업체들 Capex 기존 가이던스를 충족시킬 가능성이 높음

최근 급부상한 AI향 수요와 이를 둘러싼 플랫폼 간 경쟁이 그 요인

 

② 공급사 Capex 축소 가시성 높아지고 있다.

반도체 장비 수입액의 감소가 본격적으로 시작

 

 
출처: 미래에셋증권

 

Spot 가격은 고정 가격 대비 3~4개월 선행해서 움직이는 편이다.

​​

SK하이닉스 주가는 Spot 가격과 동행하거나 또는

Spot 보다 선행

 

 
▲ 주가는 120일 이동평균선을 뚫었다.

 

▲외인 지분 보유율은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다.

 

https://blog.naver.com/araboza-investment/222951590402

 

[공유] SK하이닉스는 반포자이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c-l_LXGTjU&list=WL&index=3 PBR...

blog.naver.com


 

■ 반도체 수요 동향

 

수요 회복은 고객사 재고 조정이 먼저 마무리되는 중국 모바일부터 시작

23년 IT 전반적 수요는 데이터센터 등 서버가 주도할 것으로 판단

서버는 모바일, PC 등과 달리 22년에도 성장세 유지

AI를 중심으로 23년에도 기저 수요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

빅테크 기업들이 대규모 인원 감축 및 고용 축소를 통해 OPEX 측면에 비용 절감

OPEX를 최대한 줄이면서도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CAPEX는 유지할 것으로 판단

 

국내외 모두 OpenAI사의 ChatGPT가 이슈화

 

아마존의 버지니아 데이터센터에 대해 2040년까지 추가적으로 350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 발표 보도됨

버지니아 데이터센터는 2011년 이래로 350억달러가 기 투자되었다.

향후 15년간 유사 규모의 투자 추가 집행 예정

주 목적은 클라우드 시장점유율/경쟁력 강화

넷플릭스 구독자 수 증가세는 클라우드 수요 관점에서 긍정적

넷플릭스는 AWS 이용하는 최대 고객으로 트래픽 감소가 진행되지 않는 이상

클라우드 수요를 지속 발생시킬 주요 사용자 중 하나이다.

 

MS,메타, 아마존 등 하이퍼스케일러 전반의 Capex 가이던스 긍정적일 가능성이 높다.

 
출처: 미래에셋증권

 

출처: 미래에셋증권

 

ChatGPT는 현재 MS 클라우드 Azure의 GPU 인프라를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1년까지 학습된 현재 모델은 엔비디아의 A100을 사용

차기 버전부터는 최신 GPU인 H100이 적용될 예정

이러한 기대감으로 인해 엔비디아 주가는 상승

 

데이터센터향 GPU의 경우 HBM(High Bandwidth Memory)인터페이스의 DRAM 탑재

HBM은 높은 제작 원가만큼 기존 DRAM 대비 2배 이상의 가격대가 형성돼 있다.

ChatGPT 및 AI 대중화

직접적으로 GPU 수요를, 간접적으로 DRAM 중심으로 하는 메모리 수요를 촉진시킬 것이다.

DRAM 3사 모두 HBM 라인업을 보유

엔비디아향 HBM의 경우 SK하이닉스 HBM3의 점유율이 압도적인 것으로 추정된다.

→장비사 중 한미반도체 수혜도 기대된다.

 

 

파운드리 수요 중

선단 공정, 자동차향 수요는 견조하다.

 

글로벌 4위권 파운드리 업체인 UMC는

23년 주요 성장 동력으로 Automotive향 언급

주된 요인은 차량 전장화, 자율주행화

국내 관련 서플라이체인인 해성디에스는 Auto향 수요 중장기적 성장 가시성 기반으로

향후 2025년까지 3단계에 걸쳐 3,880억원 투자하기로 결정

 

출처: 미래에셋증권
출처: 미래에셋증권

 

 

빅테크들 최신 로직칩 구현에는 파운드리 공정 개선이 필수적

칩의 집적도 향상에 대한 니즈가 지속되는 한 선단공정에 대한 수요는 견조할 것으로 판단

 


 

■ 반도체 공급 동향

 

웨스턴디지털, 키옥시아 합병 논의 재점화

WDC-키옥시아는 이미 일본 현지에 팹을 공동으로 운영 중이다.

반도체 업체 간 공정을 통합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

이러한 측면에서 양사 간의 합병이 진행될 경우 빠르게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

WDC-키옥시아 서로 겹치는 포트폴리오 통합

NAND 제품군에서 단일 주체당 공급 규모 확대 효과 유발할 것

 

메모리 주축인 DRAM 산업의 경우 수많은 Consolidation (합병)을 통해 현재 3자 과점화 구도로 재편되었다.

이를 통해 투자 경쟁의 과열이 차단되고,

교섭력 (Bargaining power) 우위를 점하여 소모성 제품 고유의 시크리컬 특성이 완화하였다.

​NAND 시장 또한 비슷한 방향으로 흘러갈 것으로 판단

출처: 미래에셋증권

https://blog.naver.com/araboza-investment/222976707417

 

반도체 장비 수입액 감소 추세

→설비투자 축소세 추정

 

국내 메모리 공급업체(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설비투자 감소가 유의미하게 일어나고 있음을 추정

 

출처: 미래에셋증권
출처: 미래에셋증권


반도체_미래에셋.pdf
2.45MB
산업_반도체_실적_시즌을_기다리며_Semiconductors&_20230126_Korea_836344.pdf
0.79MB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