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 개요
이차전지용 실리콘 음극재 및
다양한 전자재료(전도성 페이스트, 태양전지 전극재료, 형광체 등) 사업을 하는 회사
<2022년 기준 매출액 비중>
-전도성 페이스트 42.4%
-이차전지용 음극재 20.3%
-형광체재료 13.7%
-태양전지 전극재료 13.5%
전도성페이스트는 MLCC향 내외부 전극으로 삼성전기에 납품
태양전지는 파우더 중심 제품
동사가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현재 국내 유일 이차전지용 실리콘 음극재 양산 기업이기 때문이다.
과거 PDP 격벽용 유리재료, MgO나노파우더를 생산하던
기술과 장비를 바탕으로 실리콘 음극재 연구개발을 시작
가장 안정적인 구조로 알려진 SiOx 계열을 선택
2019년부터 본격 양산을 시작
동사의 CAPA 계획은 현재 1,000톤 → 23년 말 3,000톤 → 24년 1만톤 → 25년 2만톤까지 투자 확정
시흥배터리캠퍼스 부지는 최대 6~8만톤까지 증설 가능
■ 투자 포인트
▶실리콘 음극재 도입 확대 및 성장
1.2023년 이후 EV용 실리콘 음극재의 상용화 확대 및 함량 증가 기대
LGES 향으로 판매되어
포르쉐 Tycan에 탑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유사 스펙 배터리가 장착된
아우디 e-tron GT, 마세라티 GranTurismo Folgore에도
탑재되는 것으로 추론
해당 차종들의 후속 모델, 현대차 차세대 아이오닉도
10% 이상 실리콘을 함유한 음극재 배터리를 탑재할 것으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다른 실리콘 음극재 진출 기업들은 양산 시점이 아직 멀었기에
동사 제품에 대한 니즈는 점점 커질 것
2. 프리미엄 IT기기 신규 어플리케이션 추가와 원료 내재화 계획
세 번째 사업장인 새만금 공장은
글로벌 IT사 프리미엄 제품용 실리콘 음극재 생산기지로 활용될 계획
2025년부터 매출 발생 예상
프리미엄 제품이기에 다른 어플리케이션 향 보다 높은 가격이 적용될 것으로 기대
해당 부지는 현재 중국에서 주로 조달 중인
실리콘 음극재 원료를 직접 생산하기 위해서도 활용할 계획
■ 2023년 실적 전망치
매출액 1,947억원
영업이익 208억원
OPM 10.6%
순이익 93억원
1H23에는 작년 전방 IT기업들의 재고조정 영향이
지속되며 실적 회복이 크지 않을 전망
실리콘 음극재의 매출 성장은
국내외 셀, OEM사들의 탑재 확대가 기대되는
2024년부터 본격화되며 1,000억원 이상의 매출이 기대
<2024년 실적 전망치>
매출액 2,894억원
영업이익 422억원
OPM 14.6%
순이익 242억원
■ 밸류에이션-주가 차트-매매 주체별 수급
시가총액 ÷23F 순이익 (93억원)
=189.59
시가총액 ÷24F 순이익(242억원)
=72.86
▼ 대주전자재료 매매 주체별 수급 차트
2차전지 소재-실리콘 음극재 + CNT 도전재
실리콘음극재 전기차 인프라 부족, 충전/주행거리 이슈에 따른 배터리 스펙 향상 니즈 꾸준 실리콘음극재 적용으로 주행거리, 충전속도 개선이 가능 음극재는 리튬이온을 저장했다가 방출하면
arabozaeverything.tistory.com
https://kmong.com/self-marketing/456650/saASivZIOe
반도체 실전 투자 노트 | 16000원부터 시작 가능한 총 평점 0점의 전자책, 투잡·재테크 전자책 서
0개 총 작업 개수 완료한 총 평점 0점인 건실한미어캣1715의 전자책, 투잡·재테크 전자책 서비스를 0개의 리뷰와 함께 확인해 보세요. 전자책, 투잡·재테크 전자책 제공 등 16000원부터 시작 가능
kmong.com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기 23년 1분기 실적 Review (0) | 2023.04.26 |
---|---|
러셀 기업 분석 및 23년 실적 전망 (0) | 2023.04.20 |
오리온 23년 3월 잠정 실적 및 23년 실적 전망 (0) | 2023.04.19 |
GKL 분석 및 23년 실적 전망 (0) | 2023.04.13 |
로봇 산업 및 국내 관련 기업 정리 (0) | 2023.04.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