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 개요
반도체 중고 장비 및 무인자동화시스템 업체
<2022년 매출 비중>
-반도체 장비 84.52%
-무인운반차(AGV) 15.48%
1. 반도체 리퍼비시 장비
리퍼비시는 반도체 중고 장비를 매입 후
세정 및 개조하여 고객사 니즈에 맞는 성능으로 재판매하는 사업
리퍼비시 사업 내에서도 증착 장비 (CVD)를 전문
200mm(8인치), 300mm(12인치) 웨이퍼 포트폴리오 보유
장비 ASP는 20~30억
2.무인운반차(AGV: Automated Guided Vehicle)
정해진 경로에 따라 자재를 이동시키는 물류로봇 사업
국내외 물류창고 및 스마트팩토리에 물류로봇과 시스템을 공급
AGV(Autonomous Guided Vehicle, 무인 운송 차량)는 각종 제조 공정이나
물류 창고 등에서 노동력의 최소화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해 사용
현재 3방향 무인지게차, 표준형 무인지게차의 상용화를 완료
다수의 로봇을 동시에 운영할 수 있는 AGV 관제 시스템이 핵심 경쟁력
최대 100대까지 동시 운영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파악된다.
국내 반도체 Fab에서 50여 대 운영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SK하이닉스, 현대차, 오뚜기 등 국내 대기업으로 300대 이상 공급
반도체 부문 수주 공백으로 2022년 실적 역성장
무인운반차 부문은 1H22 손익분 기점을 달성한 것으로 파악
▼ 2022년 말 기준, 수주잔고 223억원
■ 투자 포인트
1.200mm(8인치)장비 수요는 꾸준하지만, 공급은 제한
리퍼비시 장비는 비용 절감 효과가 뚜렷하기에 장비 수요는 꾸준한 편이다.
차량용 반도체는 8인치 장비에서 주로 사용되기에
8인치 장비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판단
8인치 장비는 중고 시장에서 거래
글로벌 장비 업체들이 12인치(300mm) 장비를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해외 수출 확대가 기대
2023년 기수주 금액의 약 50%는 중국향이다.
중국 내 리퍼러시 수요는 증가세다.
미국의 대중 반도체 제재는 아래와 같은 결과를 발생할 것으로 판단
→ 중고 장비의 개조 수요 증가
→ 12나노 이상(레거시 공정) 투자 증가
2. 로봇 시장의 확대
속도의 문제일 뿐 물류로봇 시장의 성장은 구조적이다.
인건비 상승과 노동 인구 감소는 물류로봇 수요 확대를 촉진시킨다.
■ 2023년 실적 전망
매출액 706억원 (+68.5% YoY)
영업이익 79억원 (+75.6% YoY)
OPM 11.2%
당기순이익 69억원 (+81.6% YoY)
반도체 장비 부문은
중국 및 국내 리퍼비시 장비 수주 확대로 매출 성장을 전망
무인운반차 부문은 손익분기점 돌파로 본격적인 이익 성장 구간
■ 밸류에이션-주가 차트-매매 주체별 수급
시가총액 ÷ 23F 순이익 (69억원)
=20.26
▼러셀 매매 주체별 수급 차트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생활건강-1Q23 Review (0) | 2023.04.28 |
---|---|
삼성전기 23년 1분기 실적 Review (0) | 2023.04.26 |
대주전자재료- 국내 유일 이차전지용 실리콘 음극재 양산 기업 (0) | 2023.04.20 |
오리온 23년 3월 잠정 실적 및 23년 실적 전망 (0) | 2023.04.19 |
GKL 분석 및 23년 실적 전망 (0) | 2023.04.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