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Q23 실적 Review
매출액 1조 6,837억원(+2.4% YoY)
영업이익 1,459억원(-16.9% YoY)
OPM 8.7%
지배주주순이익 914억원(-16.6% YoY)
음료 사업부가 전사 매출 신장 견인
원가 인상, 인건비, 물류비 등 비용 상승 및 고정비 부담 증가로 이익 훼손
![](https://blog.kakaocdn.net/dn/J5fYD/btsdbJRYv3p/K5vbrvcycrJimwIL8SkNtk/img.png)
현재 해외 매출 비중은 30%
중화권 11%, 북미 8%, 일본 5%, 기타 5% 수준
1Q23 국가별 매출 증감률은
중국 -14%, 북미 +21%, 일본 -13%, 기타 +18%
중국 1.9 천억원(YoY-14%)
북미 1.3 천억원(YoY+21%)
일본 899 억원(YoY-13%), 엔화 기준 6% 감소
![](https://blog.kakaocdn.net/dn/QUrWn/btsc2V06jf7/9OZg2rw7WBS7YIjkrkmAU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hEpPv/btsdazbe2mW/gKYdCnzgDwfT4VPo4yWdf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QtCJZ/btsc9SPZ4pJ/DyTpKjXGnSeniUBfLaaK81/img.png)
▶ 화장품
매출액 7,015억원(+0.3% YoY)
영업이익 612억원(-11.3% YoY)
OPM 8.7%
중국 매출액은 1,570억원(-17% YoY)으로,
낮은 기저(1Q22 -32% YoY)에도 불구하고 시장 성장을 하회
중국 현지 소비 회복 지연 영향
중국 법인 온라인 비중 24% (-12%p YoY)
중국 법인 브랜드별 비중 후 83%, 숨 6%, 오휘 1%, CNP 2%
면세점 매출 비중 27%
![](https://blog.kakaocdn.net/dn/RYmQ0/btsdaGuISve/khomUh03MuDEjJDQpjvqH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5JIOh/btsdayKbZOh/z3eBNokriUtuoBOUIXL4R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oby4Y/btsc91Tqz9V/CM27uA2UjFfKkjkoYmYkxk/img.png)
▶ 생활용품
매출액 5,630억원(+1.9% YoY)
영업이익 327억원(-40.8% YoY)
OPM 5.8%
매출은 양호했으나, 비용 부담이 확대되면서 이익이 크게 감소
원료 매출 감소, 인건비, 마케팅비, 운송비 등이 인상되면서 해외 법인 이익 감액
인플레이션 환경 하에서도 온라인, H&B, 편의점 매출이 상승
미백 치약, 피지오겔 기능성 제품 판매 호조세
화장품 사업부의 성과가 부진하면서
함께 부담해왔던 공통비에 대한 비중을 조정
생활용품 사업부의 비용 부담이 이전 대비 커졌다.
→ 23년 말까지 전년동기대비 50억원 수준의 이익 감소 예상
![](https://blog.kakaocdn.net/dn/nPekx/btsdabhsHGx/X13p42hEycHlJfw8JNq2wk/img.png)
▶ 음료
매출액 4,192억원(+6.7% YoY)
영업이익 520억원(+1.2% YoY)
OPM 12.4%
외부 활동이 꾸준하게 늘면서 매출은 오프라인 채널을 중심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기록
품목별로는 탄산 +7%, 비탄산 +6% 증가
건강과 기능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로 제로 슈거 선호
환타 제로 포도향 & 파인애플향 추가
고환율, 원재료 부담 등 비용 증가로 이익률은 소폭 감소
채널 비중은 편의점 19%, 식품점 16%, 도매&파트너 25%, 온라인 6%
![](https://blog.kakaocdn.net/dn/byIWGI/btsc9b95ScT/g5o8SYY5JcU9aIuek7t1d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sLFtO/btsc89kc1la/MsE5Zy3fmuKl7w85KRLsBK/img.png)
▶ 해외 사업 확대
① 중국 내 럭셔리 브랜드 경쟁력 강화
후 브랜드 라인업 강화
숨, 오휘 브랜드 리빌딩
② 북미 현지 사업 역량 강화
빌리프와 TFS을 전략 브랜드로 집중
빌리프는 현지 고객에 맞는 제품으로 채널 확대
TFS는 클린 뷰티 → 온/오프라인 채널 확장 추진
에이본 → 온라인 대응 강화, 운영 효율화를 통해 턴어라운드에 집중
③ 일본 및 동남아 시장 내 온/오프라인 유통기반 확대
현재 반응 좋은 CNP는 프로폴리스 주요 제품 중심으로 육성
드럭스토어 등 유통 채널 확대 추진
최근 다시 일어나는 K-뷰티 붐을 레버리지 하기 위해,
당사가 보유한 색조 브랜드를 현지 고객에 어필하기 위한 마케팅 준비 중
![](https://blog.kakaocdn.net/dn/9xoPX/btsdbO6K4zp/GMVA6P01s0TmOIT36zotA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PXAkK/btsdaZOjws5/g7P5KmdQcIKSYSJKWoEpb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NoFqa/btsdazWz3Y2/MIowZvTg1ndKIN2HZnPrrK/img.png)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GKL- 숫자로 느껴지는 견고한 펀더멘털 (0) | 2023.05.04 |
---|---|
AI 의료 기업 '루닛'을 Araboza (1) | 2023.05.02 |
삼성전기 23년 1분기 실적 Review (0) | 2023.04.26 |
러셀 기업 분석 및 23년 실적 전망 (0) | 2023.04.20 |
대주전자재료- 국내 유일 이차전지용 실리콘 음극재 양산 기업 (0) | 2023.04.20 |
댓글